뚜벅이 한걸음

카카오 로그인 API - REST API (1) 본문

API

카카오 로그인 API - REST API (1)

뚜벅뚜벅뚜벅이 2022. 7. 10. 15:15
반응형

팀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스프링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게 되었다.

카카오 로그인을 담당해서 구현하는데

문서를 열심히 읽고 구현을 하려고 하는데

갑자기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하고

너무 막막한 기분이 들어서 일단 화면부터

시작을 했는데 한동안 삽질을 했다.

오늘은 삽질한 과정을 정리하고 구현하면서 공부한 부분들을 적어보려고 한다.

2022.07.06 - 지금까지 이해한 전체적인 흐름

  1. 이용자가 카카오 로그인 버튼을 누르면, 우리 앱의 REST API 키를 가진 경로를 설정하여
  2. 카카오에게 인가 코드를 요청한다.
  3. 인가 코드를 Redirect URI를 설정하여 받아오고, 인가 코드로 access_Token을 요청한다.
  4. OpenID Connect 을 활성화하였다면 access_Token을 발급받음과 동시에 사용자 인증정보가 담긴 ID도 받을 수 있다.
 
  1. 카카오 디벨로퍼스

카카오 디벨로퍼스에 들어가서 로그인을 하게 되면 상단에 내 애플리케이션이라는 항목이 있다.

내 애플리케이션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내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를 누르고 해당하는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사업자명에는 웹사이트 이름을 적어주었다.

2. 만들어진 앱에서 카카오 로그인 탭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인다.

활성화 상태를 on으로 만들어주자

OpenID Connect를 활성화로 설정해 주면 개발 과정이 간단해진다.

Redirect URI는 반환된 코드를 받을 페이지이다.

+ 항상. do를 붙여서 가상주소처럼 처리하였는데

API를 사용할 때는 API라는 것을 구분하기 위해서. do 나 /를 붙이지 않고 저렇게 마무리한다고 한다.

테스트 용이기 때문에 localhost로 설정하고,

뒤의 주소는 우리 앱에서 commonController에서 처리할 것이라 저렇게 작성했다.

(주로 oauth/kakao로 설정하는듯하다.)

3. 동의 항목 설정하기

동의 항목을 누르고 가지고 와야 할 정보들을 설정해 주자

기본적인 앱에 대한 설정은 마무리되었다.

​다음은 개발!

https://welcometomybrain.tistory.com/43

반응형

'A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 주소 API  (0) 2022.07.11
카카오 로그인 API - REST API(3)  (0) 2022.07.10
카카오 로그인 API - REST API (2)  (0) 2022.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