뚜벅이 한걸음

스프링 프레임워크 - Mapper 본문

Spring

스프링 프레임워크 - Mapper

뚜벅뚜벅뚜벅이 2022. 7. 11. 19:52
반응형

mybatis에 관한 설정을 해주면 mapper를 사용할 수있다.

mapper에는 우리가 dao에서 작성하던 쿼리들을 여기에 작성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각각 쿼리를 작성하게 되는데 이때 insert, update, delete, select 등의 태그를 사용을 한다.

태그를 사용해서 mybatis의 쿼리를 나타내고

  1. namespace

namespace 에는 어떤mapper 를 가지고 올지 이름을 지정해준다 .

아래의 코드는 회원가입 쿼리를 간단하게 작성한것이다.

※ parameterType

별칭을 지정해서 가지고 온다. mybatias-config에서 별칭을 지정한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DOCTYPE mapper
  PUBLIC "-//mybatis.org//DTD Config 3.0//EN"
  "http://mybatis.org/dtd/mybatis-3-mapper.dtd">
 
<mapper namespace="edu.board.mapper.userMapper">

	<insert id="insert" parameterType="userVO"> 
		INSERT INTO springuser(
			midx		<!-- db컬럼따라 변경 -->
			,id
			,password
			,userName
		)VALUES(
			springuser_midx.nextval		
			,#{id}					<!-- userVO의 필드명으로 값 가져오는 것 -->
			,#{password}			<!-- userVO에서 필드 이름 바뀌면 얘도 바뀌어야함 -->
			,#{userName}
		)
	</insert>
</mapper>

이것은 나중에 Dao에서 sqlSession이 가지고 와서 사용하게 된다.

sqlSession.insert("edu.board.mapper.userMapper.insert", vo );

위처럼 사용하게 된다.

코드를 보면 insert 가 두번 보이는데

① 처음의 sqlSession.insert 의 insert는 태그 insert의 insert 이고

② ("edu.board.mapper.userMapper.insert", vo ); 의 insert는 id 에 해당하는 insert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