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개요
1. 중앙처리장치 (CPU)
산술논리연산장치와 제어장치가 있고 산술논리연산 장치에게 처리한 데이터는 제어센터를 통해서 주 기억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제어장치는 입력장치, 출력장치, 보조기억장치(하드 디스크)와도 연결.
2. 메모리
:CPU가 작업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억하는 장치
3.RAM(Random Access Memory)
:휘발성 메모리
:DRAM(Dynamic RAM) :주기적으로 재충전(전원 ON) 필요
:SRAM(Static RAM) : 재충전하지 않아도 됨
4.ROM(Read Only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
5. 보조 기억장치
1) 하드 디스크 : 대용량의 자료 저장 가능
6. 입력장치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바코드 판독기, 조이스틱 등
7. 출력장치
모니터, 프린터
1. 논리 회로 -부울 대수
1) 논리 대수
논리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수학적인 방법 *결과 : 참/거짓, 0/1
ex)
T AND T = T T OR T = T
F AND T = F T OR F = T
F AND F = F F OR F = F
2) 논리 연산
① 논리곱(AND)
두가지 명제가 모두 참일 겨우에만 참
X= A·B (직렬 연결)
②논리합(OR)
두가지 명제 중 하나만 참이어도 참
X=A+B (병렬 연결)
③논리부정(NOT)
입력값 하나만 써도 됨.
X=A'
입력
|
출력
|
0
|
1
|
1
|
0
|
④Buffer
X=A
A
|
X
|
0
|
0
|
1
|
1
|
※ 부울대수의 기본법칙
①교환 법칙 : AB=BA, A+B=B+A
②결합 법칙 : (AB)C=A(BC), (A+B)+C=A+(B+C)
③분배 법칙 : A(B+C)=AB+AC, A+(BC)=(A+B)*(A+C)
※두번째 분배법칙은 일반 수학과는 다르지만 0과 1을 대입해보면식이 성립하는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논리곱은 두가지 명제가 둘다 참일 경우에만 참이 나오므로 오른쪽 항의 두가지 논리합 (A+B)와 (A+C)가 각각 참이면 참인 결과를 A+(BC)와 비교할 수있다.
논리합은 두가지 명제중에 하나만 참이어도 결과가 참이므로 다음과 같이 가정해보겠다.
A+(BC)=(A+B)*(A+C)
① A가 참인 경우
A+(BC)에서 이미 A가 참인 논리합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BC)의 값과 관계없이 논리합(둘중하나가 참이면 참)에 의하여 무조건 참이 된다. (A+B)와 (A+C)는 논리합으로 인해 둘다 참인값이 되므로 참인 값 1*1은 1, 참이이다. 따라서 A가 참이면 식이 성립한다.
이런식으로 다른 값들도 넣어서 계산하면 증명해볼 수있다.
|
④흡수 법칙 : A(1+B)=A, A+AB=A
※어떤 값이 1일 경우 논리합이면 1이 된다.
⑤부정 : AA'=0, A+A'=1, (A')'=A
⑥드 모르간의 법칙 : (AB)'=A'+B', (A+B)'=A'B'
※논리곱인 A·B에 전체 부정을 하면 식을 빠져나오면서 논리곱은 부정이 되어 논리합으로 나오고
논리합(A+B)에 전체부정을 하면 식을 빠져나오면서 각각 부정이 되어 논리곱이 되는 것을 드 모르간이라고 한다.
⑦기타 : 0A, 1A=1, AA=A, 0+A=A, 1+A=1, A+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