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 파일관리 시스템
1. 파일
: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장치에 저장되는 서로 관련성 있는 데이터들의 집합
2. 파일 시스템
: 보조기억장치상의 파일관리
: 파일에 대한 정보관리
1)기능
- 파일의 생성, 수정, 삭제
- 파일 공유롸 그에 따른 여러 종류의 접근 방법 제공
- 파일의 백업과 복구
- 파일의 보호
-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 제공(탐색기)
2) 파일 구조에 따른 분류
① 순차 파일
: 레코드의 물리적 배치 순서를 논리적 배치 순서와 동일하게 유지하여 저장시키는 파일형태
공간의 낭비 없이 파일들을 밀도있게 구성하고 자료를 순차적으로만 읽기때문에 레코드의 삽입이나 삭제가 어려움
② 직접 파일
: 레코드가 저장장치의 물리적 주소를 통해 직접 접근하는 파일형태
레코드를 주소 계산으로 직접처리 할 수있지만 계산과정때문에 시간 지연됨
③ 색인 순차 파일
: 각 레코드의 키에 따라 논리적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는 파일의 형태로 색인 영역에 대한 별도의 기억 공간이 많이 필요함
:융통성있는 파일처리 가능
④ 분할된 파일
:여러개의 순차 서브 파일로 구성
:프로그램 라이브러리나 매크로 라이브러리를 저장할떄 유용하게 사용
3. 공간 할당 방식
① 연속할당
: 파일이 보조 기억장치에 저장될 때 연속 된 공간을 할당받는 것
엑세스 시간이 줄어듬
파일이 디스크에서 제거된 후에 단편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연속할당
② 불연속 할당
-연결할당 : 동일 파일에 속하는 섹터들이 링트로 연결되어 섹터 단위로 할당되는 방식
(논리적으로 연결된 블록들을 검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
③블록 할당
: 연속된 섹터를 할당하고 자료를 확장할 때는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빈 블록을 선택하여 그 파일이 추가 할당
: 색엔 할당이 대표적
-12번에 지금까지 할당한 공간들의 주소를 12번에 색인하는 것

4. 파일 보호
: 접근제어행렬, 암호화, 파일 명명법, 백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