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로그인
- 없애기
- 다음주소API
- span width 설정
- 로그아웃
- 카카오로그인
- 셀렉터
- 변경
- jsp
- 회원가입페이지
- rest api
- 스타일 시트
- restAPI
- 반복문
- id 개별 부여
- 자바
- 유효성검사
- 크기조정
- 변수
- 42000
- textarea
- 조건문
- 인스턴스
- 카카오 로그인
- 별찍기
- API
- 주소
- 테이블 생성
- 연산자 우선순위
- openChallenge
- Today
- Total
뚜벅이 한걸음
컴퓨터 개요 (2) 본문
1. 시스템 버스(64 bit 자료 처리 가능)
: CPU 가 주기억 장치, 입출력장치 등으로 부터 데이터를 받는 길
① 주소버스
: 중앙처리장치(CPU)가 기억장치나 입출력장치의 주소정보를 전송하는 신호선의 집합
:단방향 버스 ※Data의 위치가 정해져있어야 불러올 수 있어서 번지를 부여해서 정리한다.
② 데이터 버스
:중앙처리 장치가 기억장치나 입출력 장치의 데이터를 보내거나 반대로 데이터를 읽어 들일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
③ 제어 버스
:CPU가 각종 장치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 선의 집합
-제어 신호 종류
-기억장치 읽기/쓰기
-입력장치 읽기/쓰기
-버스 요구 : 컴퓨터 시스템의 어떤 장치가 버스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버스 요청을 요구하기 위한 신호 (기억장치로 읽을지 입력장치로 읽을지 등)
④ 인터럽트 요구
:인터럽트가 실행을 위해 대기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신호
⑤ 클럭
: 컴퓨터 시스템의 각 장치들의 동작을 동기화 시키는데 사용되는 신호
※CPU 세부기능

※산술 논리 연산 장치(ALU)
-산술연산, 논리연산
※제어장치
-명령어 해독, 명령어 실해에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신호 발생
※레지스터
-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기능을 가진 CPU 내부에 있는 고속의 기어장치
산술 논리 연산 장치 (ALU)
1. 정수의 표현
1)양의 정수 표현
: 부호(+,ㅡ)를 나타내는 비트 필요없음.
: n 비트로 이루어진 수는 0부터 2n-1 까지의 값을 나타낸다.
0
|
00000000
|
34
|
00100010
|
128
|
10000000
|
355
|
11111111
|
2)음의 정수 표현
:부호 비트 사용
:제일 앞의 비트를 부호로 사용
ex) -5 : 00000101
+5 : 10000101
3) 2의 보수
1의 보수에서 1을 더하여 숫자를 표현하는 방식
ex) 0011 의 2의 보수
① 10000-0011=1101
② 1100(1의 보수)+1=1101
※1의 보수
0은 1로 1은 0으로 바꾸고 최상위 비트가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
ex )
2+3=0010+0011=0101=5
-2+(-3)=1101+1100= 1001+0001=1010= -5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이해가 안갔는데 이진법에서 0001과 0001이 더하면 0010(십진법에서의 2)이 된다. 그러므로 1001+0001=1010 이다.
4) 부동 소수점 수의 표현
: 소수점의 위치가 필요에 따라 이동하는 표현 방법을 의미
부호
|
지수값(소수점 이하)
|
가수부(정수)
|
5)쉬프트 연산
:레지스터 내에서 비트값을 왼쪽 or 오른쪽으로 한자리씩 이동하는 것
0
|
0
|
1
|
0
|
0
|
1
|
1
|
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
1
|
0
|
0
|
1
|
1
|
0
|
0
|
2. 제어장치
:각 사이클에서의 마이크로 연산들의 수행 순서 제어
:내부구성
명령어 레지스터(IR)
명령어 해독기
제어 주소 레지스터
제어 기억장치
제어 버퍼 레지스터
해독기
제어신호
3. 기억장치
레지스터 ↑
캐쉬기억장치 ↑ 속도 상승
주기억장치 ↑ 용량 감소
보조기억장치 ↑ 가격 상승
※캐쉬 기억장치
CPU와 주기억장치 사이에 설치한 접근 속도가 빠른 소규모 기억장치.
CPU가 훨씬 빠르기 때문에 주기억장치의 처리속도를 보완해줌.
4. 입출력 장치기
: 제어기가 필요하다. 키보드 제어기, 디스크 제어기, 터미널 제어기, 프린터 제어기 등
1)입출력 방식
① CPU에 의한 입출력 방식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방식
:CPU가 입출력 장치를 계속 감시하면 시간낭비가 심하고 처리 효율이 떨어짐
-인터럽트에 의한 입출력 방식
:CPU는 입출력 동작을 작동시켜 놓고 다른 작업 수행
:입출력 전송률 느림
② 채널에 의한 입력 방식
: 입출력 처리기(I/O processor)가 입출력과 관련된 거의 모든 동작을 수행하므로 CPU가 자기 일 할 수 있음.
③ DMA(Direct Memory Access)에 의한 입출력 방식
:프로그램에 의한 입출력 방식과 인터럽트에 의한 입출력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것.

5. 병렬 컴퓨터 구조
1) 병렬처리
:여러개의 프로세서가 동시에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
:목적 : 처리속도 향상, 처리율 증가
:추가적인 하드웨어 필요
→시스템 비용증가(단점)
'응용SW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 파일관리 시스템 (0) | 2022.07.11 |
---|---|
운영체제 - 가상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0) | 2022.07.11 |
운영체제 -주기억장치 관리 (0) | 2022.07.10 |
운영체제 OS (0) | 2022.07.10 |
컴퓨터 개요 (0) | 202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