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변수
- span width 설정
- jsp
- 42000
- openChallenge
- 테이블 생성
- textarea
- id 개별 부여
- 로그아웃
- 자바
- 크기조정
- 셀렉터
- 반복문
- 스타일 시트
- rest api
- API
- 연산자 우선순위
- 인스턴스
- 별찍기
- restAPI
- 회원가입페이지
- 주소
- 다음주소API
- 카카오 로그인
- 로그인
- 조건문
- 없애기
- 유효성검사
- 카카오로그인
- 변경
- Today
- Total
뚜벅이 한걸음
운영체제 -주기억장치 관리 본문
1. 주기억장치 관리 전략
1) 반입 전략
:주기억장치에 적재할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언제 보조기억장치에서 주기억장치로 가져올 것인가를 결정하는 전략 (요구 반입, 예상 반입)
2) 교체 전략
:새로운 프로그램을 배치할 때 주기억장치의 위치를 정할 때, 주기억 장치의 공간이 부족하여 현재 주기억 자치에 적재되어있는 프로그램 중에서 어떤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제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전략
3) 배치 전략
:새로 가져오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의 어디에 위치시킬 것인가를 결정하는 전략
(크기가 24K인 데이터를 위치시킬 때 운영체제에 25K짜리 공백이 있다면 최적 적합이고, 40K의 공백이 있어 거기에 위치시킨다면 최악 적합이다. 공간 낭비.)
2. 주기억장치 관리 기법
1) 단일 프로그래밍 기법
:시스템 내에 항상 하나의 프로세스만 존재하며 현재의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에 다른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가장 단순한 기법
2) 고정 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기법
:주기억장치를 여러 개의 고정된 크기들로 분할하여 실행 중인 여러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방법
3) 가변 분할 다중 프로그래밍 기법
:프로그램이 적재될 때마다 그 크기에 맞게 주기억장치의 공간을 할당해주는 기법
※ 단편화 현상과 해결책
① 단편화(fragmentation)
: 주기억장치에서 부분적인 기억 공간이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낭비되는 현상
② 해결책
- 통합 기법 : 운영체제 내에 공백들을 합쳐서 공백을 키우는 것
- 압축 기법 : 운영체제 내에 사용 중인 부분들을 압축해서 공백을 늘리는 것
'응용SW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 파일관리 시스템 (0) | 2022.07.11 |
---|---|
운영체제 - 가상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 (0) | 2022.07.11 |
운영체제 OS (0) | 2022.07.10 |
컴퓨터 개요 (2) (0) | 2022.07.10 |
컴퓨터 개요 (0) | 2022.07.10 |